시댁·처가 가족 간 호칭 및 촌수 계산 완벽 가이드

 

시댁·처가 가족 간 호칭 및 촌수 계산 완벽 가이드

"결혼 후, 시댁과 처가 가족 호칭이 헷갈리시나요?"


"촌수 계산, 어렵게 느껴지시나요?"

 

많은 분들이 결혼 후 가족 간 호칭촌수 계산법 때문에
어색하거나 실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
특히, 시댁과 처가에서의 바른 호칭 사용은 예의와 존중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
정확하게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오늘은 시댁·처가 가족 간 호칭 정리 및 촌수 계산 방법까지
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
 

 


✅ 목차

  1. 시댁·처가 가족 간 호칭 정리
  2. 촌수 계산이란? 기본 개념 이해
  3. 촌수 계산 방법 및 공식
  4. 혼동하기 쉬운 가족 호칭 및 촌수 예시
  5. 자주 묻는 질문 (FAQ)

1️⃣ 시댁·처가 가족 간 호칭 정리

🔹 남편 기준 (시댁) 호칭

가족 관계호칭
시아버지 아버님
시어머니 어머님
남편의 형 아주버님
남편의 형수 형님
남편의 동생(남) 도련님
남편의 동생(여) 아가씨

🔹 아내 기준 (처가) 호칭

가족 관계호칭
장인어른 아버님
장모님 어머님
아내의 오빠 형님
아내의 언니 처형
아내의 남동생 처남
아내의 여동생 처제

🔥 혼동하기 쉬운 부분

  • 남편의 남동생은 ‘도련님’,
  • 남편의 여동생은 ‘아가씨’라고 부르고,
  • 아내의 남동생은 ‘처남’,
  • 아내의 여동생은 ‘처제’라고 부릅니다.

2️⃣ 촌수 계산이란?

촌수란?

  • **가족 관계의 거리(혈연 관계의 거리)**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.
  • 본인을 기준으로 상대방과의 세대 수를 계산하여 촌수를 결정합니다.

 


3️⃣ 촌수 계산 방법 및 공식

📍 촌수 계산 공식

본인 기준 → 부모는 1촌
부모의 형제 → 삼촌, 고모는 3촌
조부모 → 2촌
사촌 형제 → 4촌


📍 세대별 촌수 정리

관계촌수
부모 1촌
형제 2촌
조부모 2촌
삼촌, 고모 3촌
사촌 4촌
사돈 촌수 없음

예시: 사촌 형제와의 촌수 계산 방법

  1. 나 → 부모 (1촌)
  2. 부모 → 삼촌/고모 (2촌)
  3. 삼촌/고모 → 사촌 (1촌 추가)

총 4촌


4️⃣ 혼동하기 쉬운 가족 호칭 및 촌수 예시

🔥 남편의 형의 아내는? → ‘형님’

  • 남편의 형제 배우자는 ‘형님’이지만,
  • 남편의 동생의 아내는 ‘동서’라고 부릅니다.

 

🔥 아내의 언니는? → ‘처형’

  • 아내의 언니는 ‘처형’,
  • 아내의 남동생의 아내는 **‘동서’**입니다.

 


5️⃣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시댁과 처가 호칭이 왜 이렇게 복잡한가요?

👉 한국의 전통 문화에서는 서열과 예의를 중요시했기 때문에
세세한 호칭 체계가 발달했습니다.


Q2. 친척과의 촌수 계산은 꼭 해야 하나요?

👉 상속 관계, 법적 절차 등에서
정확한 촌수 계산이 필요합니다.


Q3. 사돈 간 촌수도 있나요?

👉 사돈 관계는 법적 혈연 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촌수가 없습니다.
다만, ‘처남’, ‘도련님’, ‘동서’ 등으로 부르는 호칭은 사용합니다.


✅ 결론

시댁과 처가 가족 간 올바른 호칭 사용
예의와 존중의 기본입니다.
특히, 촌수 계산법까지 익혀두면
가족 행사나 경조사에서도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
 

👉 "이제 가족 모임에서도 당당하게 호칭하세요!"
👉 "촌수 계산도 어렵지 않습니다!"